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길가] 광대나물 - 봄에 웃음주는 삐에로

우리주변생물

by 쿠스팡 2021. 3. 9. 19:32

본문

728x90
반응형

날씨가 더 많이 풀린거 같은데

여전히 밤낮으로는 쌀쌀한 시기입니다

이럴때 감기조심하세요

 

오늘 소개해드릴 식물은

길가에서 흔히볼 수 있었지만

그렇다고 익숙하지는 않은 광대나물입니다.

라고 생각하는데

어린식물을 나물로도 먹는다고하네요

 

전체적인 모습은

뭔가 우스꽝스럽기도하면서

약간 잎이랑 있으면 삐에로의 느낌도 있네요

광대나물은 다른말로는

코딱지풀이라고도 하는데요

잎의 모양이 그러게 생겼다고하네요...

저는 오히려 잎에서

꽃봉오리가 돋아나는 모습에서

어떻게 보면

코딱지도 느꼈을수도 있지 않나싶네요

(코피묻은...?)

외국에서는 henbit dead-nettle, common henbit

이라고 부르는데

henbit이 광대나물이라는 뜻이라네요

(어원, 뜻 이런걸 못찾아 이건 좀 노잼...)

 

아무튼 이들은 전국 그리고 전세계에

분포하고 있어요

우리나라에서는 기후변화 지표종으로도

선정되어 있네요

 

역시 이 식물도 길가에서 자라기에

잡초로 취급되고 있죠

특히나 밭에서요

이제 한번 광대나물을 살펴볼께요

광대나물은 꿀풀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이에요

 

꿀풀과에 속하고 있어서

광대나물도 소량의 꿀을 가지고 있죠

이 꿀들은 꽃가루받이를 해주는

벌이나 나비들을 유혹합니다

 

광대나물의 수술은 4개이고요

그 중에서 2개는 더 길어요

이런 특징은 꿀풀과에서

볼 수 있는 특징중에 하나에요

꽃잎은 하나로 이루어져 있고(통꽃)

2개로 갈라지는데

갈라진 모습이 마치 혀같이 생겼어요

(순형화관)

 

그 중에서도 아래꽃잎인 혀는

또 3갈래로 갈라지는데

정면에서보면

좀 약오를 수 있어요ㅋㅋ

꽃받침은

무수한 털에 가려져서 잘 안보이지만

5개로 갈라져 있는 하나이고요

잎과 줄기에도 많은 털이있어요

잎은 굉장히 특이하게

층을 이루고 있고

줄기를 빙둘러서 감싸고 있죠

여기서 또 하나의 특징중에 하나는

줄기를 만져보면

각지다는 느낌이 있어요

그리고 각이 4개가 있다는 것이 느껴져요

광대나물과 같은 꿀풀과는

줄기의 모양이

사각형을 가지는 경우가 많아요

이 꽃은 3월에서

5월에 피고

5월에서 7월에 열매를 맺어요

제가 갔을 때는

그 전에 피웠던 꽃들의

열매들이 남아있어서

열매와 씨앗을 볼 수 있었어요

이꽃에서

화려한 꽃이 줄기를 감싸기 때문에

열매역시 줄기를 감싸고 있고요

그 안에 들어있는 씨앗들은

하나에 4개씩 들어있어요

열매의 유형은 소견과입니다

 

씨앗을 확대해보면

막 겉에 줄무늬가 보여요

약간 회백색이고

정확히 말하면

이 줄무늬 같은 건

회백색의 반점이고

이 광대나물의 특징입니다

 

지금까지 처음으로

꿀풀과에 속하는

광대나물을 관찰하고

알아보았습니다

1924, Illustrations of the British Flora (Public domain in BioLib site Link)

 

자세한 기재문은 아래에 있고요

다음에 또 다른 식물로

찾아올께요

국명 정명

광대나물

 

국명 이명

작은잎꽃수염풀, 코딱지풀, 코딱지나물, 진주연 

보개초, 등룡초, 접골초(약용)

 

영어 이름

henbit dead-nettle, common henbit, greater henbit

 

학명 정명 (Accept name)

Lamium amplexicaule L.

 

분류체계

광대나물속 - 꿀풀과 - 꿀풀목 - 목련강

Lamium- Lamiaceae - Lamiales - Magnoliopsida

 

원산지

-

 

분포

전국, 전세계

밭, 밭둑, 들, 인가주변

 

생육형태

두해살이풀

 

꽃 피는 시기 (개화 시기)

3월 - 5월

(2021. 02. 26)

 

구조 / 구성

꽃잎(화피) 1장(2갈래 통꽃)

꽃받침(악편) 1장 5갈래

수술 4개 (2강웅예 - 4개 중 2개가 길다)

암술 1개

 

열매 맺는 시기 / 종류

5월 - 7월 / 소견과(nutlet)

 

효능 / 이용

잡초, 식용, 약용

 

관찰일자

2021.02.26

 

참고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국립수목원(2014),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Catalog of Life

Wikipedia.org

common.wikipedia.org

www.biolib.de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