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홍릉] 개복수초 / 복수초 - 누구에게 복수 한다는게 아닙니다

우리주변생물

by 쿠스팡 2021. 3. 15. 18:14

본문

728x90
반응형

오랜만입니다

지난번 3월 7일에 홍릉에 갔다왔었는데요

홍릉수목원 또는 산림과학원에서

상징이라고도 할 수 있는

복수초를 보고 왔습니다

 

복수초는 한자로

福壽草

생명에 대한 복으로 해석할 수 있겠네요

복수초 꽃말은 영원한 행복입니다

 

 

영어이름은 꿩의 눈인데

아마도 노란색 바탕에

중앙의 암술들을

수술들이 둘러싸서

이런 이름이 붙은거 같네요

 

속명인 Adonis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소년으로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를 반하게 한

미남이라고 하죠

 

2021.03.15 - [분류 전체보기] - [신화] 아도니스(Andonis) - 미의 여신을 반하게 한 미소년

 

[신화] 아도니스(Andonis) - 미의 여신을 반하게 한 미소년

오늘 말씀드리는 신화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아도니스이야기입니다 아도니스는 사냥을 주로하고 다니는 키니라스와 스미르나의 아들입니다 먼 옛날 키프로스에 있는 왕 키니라스에게는 누

bigeo.tistory.com

 

죽음과 부활을 반복하며

자연의 순환을 나타내는

초목의 정령으로 현대에서 보고있습니다

아마 복수초 개화시기에 따라서

이런 속명이 붙은거 같네요

 

아도니스가

초목의 정령이 된 이유는

추후 포스팅할 게시글을 참고해주세요

 

복수초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꽃을 피는 식물로

널리 알려져 있죠

눈 덮인 땅에서

노란색의 꽃이 나오는 사진은

복수초를 검색하면 꼭 나오는 사진입니다

 

도감에서도 복수초는

3월에 피기시작해서

4월까지 핀다고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도감에는

복수초는 잎이 나기전에

꽃이핀다고 되어있죠

 

?????

 

홍릉에 있는 복수초는

잎이랑 꽃이 같이있는데요?

 

 

홍릉에는 세 곳에 복수초가 있어요

한 곳은 목재이용연구동 숲이고요

다른 한 곳은 바로 그 근처 본관가는길

나머지는 약초원 앉은부채 산마늘 사이

 

앞의 두 곳은 서로 비슷해보이는데

약초원의 복수초는 조금 다른느낌?

 

 

그래서 찾아봤습니다

복수초는

확실하게 꽃이 잎보다 먼저개화하고

줄기는 나눠지지 않고

꽃받침은 꽃잎길이와 같거나 길다

 

개복수초는

꽃과 잎이 같이 발달하고

줄기는 나누어지고

꽃받침은 꽃잎보다 짧고

평균 5매이다

 

세 위치에서 모두

잎이랑 같이나거나

잎이 먼저 나왔으니

개복수초네요

 

꽃이 피면 구분이 어렵지만

봉오리를 보면

꽃받침은 딱 5장이고

 

활짝피지 않은 꽃에서

꽃받침이 꽃잎보다 짧으니

거의 무조건이네요

 

우리나라에는 복수초가

복수초, 세복수초, 개복수초

이렇게 세 종이 분포하고 있어요

전에는 가지복수초도 있었다고하는데

잘못된 동정이었다고 하는군요

가지복수초는 일본에만 있어요

 

그리고 세복수초의 경우에는

제주도에만 있고

나머지 두 종은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있어요

서로 분포도 같기에

동정하기가 어려운 종이죠

 

이들이 속하는 과는

미나리아재비과입니다

미나리아재비과는

굉장히 많은 수술과 암술을

가지고 있는게 특징이죠

복수초속 역시

매우 많은 암술과 수술을 가지고 있죠

 

꽃이 벌에 의해서 수분이 이루어지면

수많은 암술로부터 각각의 씨방에서

씨앗들이 만들어지고

이 씨방들이 합쳐져서

하나의 열매처럼 만들어져 있죠

 

이 복수초속의 특징 중에 하나는

잎이 1-3번씩 갈라져요

마치 깃털같이 생겼죠

 

꽃과 가까운 상부의 잎 줄기의 끝에는

자그마한 탁엽이 있어요

땅에 가까운 곳에는 비늘잎이 있는데

이번에는 확인하지 못했어요

비늘잎에서 나는 잎의 유무와

탁엽의 유무도

구별형질이 된답니다

 

줄기는 털이 없는 매끈한 줄기이고요

근데 꽃대에는 털이 있는거처럼 보이네요?

이건 추후에 확인해봐야 할 거 같아요

 

오늘은 복수초를 한 번 봤는데요

복수초가 피었다는 것은

이제 봄꽃들이 경쟁하듯이

피어난다는 뜻일테고

진짜로 알록달록한

바깥세상이 펼쳐진다는 뜻이기도하죠

(아래 그림은 유럽복수초(Adonis vernalis)입니다)

(개복수초, 복수초 그림을 못찾았어요...)

유럽복수초, 1885, Flora von Deutschland Österreich und der Schweiz (Public domain in BioLib site Link)

벌써 진달래도 피기 시작하는데

그래도 움츠렸던 마음들이

다시 열리는 거 같네요

이번주도 화이팅하세요

 

국명 정명

개복수초

 

국명 이명

복수초, 얼음새꽃, 원일초, 설련화

 

영어 이름

Amur adonis, pheasant's eye

 

학명 정명 (Accept name)

Adonis ramosa Franch. (Catalog of life)

Adonis pseudoamurensis W.T. Wang (국립생물자원관)

- 분류학적 논의 중...

 

분류체계

복수초속 - 미나리아재비과 - 미나리아재비목 - 목련강

Adonis - Ranunculaceae - Ranunculales - Magnoliopsida

 

원산지

-

 

분포

한국, 중국, 시베리아

전국

산지

 

생육형태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꽃 피는 시기 (개화 시기)

3월 - 4월

(2021. 03. 07)

 

구조 / 구성

꽃잎(화피) 20-30장(갈래꽃)

꽃받침(악편) 5-7장

수술 많음

암술 많음

 

열매 맺는 시기 / 종류

4월 - 5월 / 수과(achene)

 

효능 / 이용

관상용, 약용

 

관찰일자

2021.03.07

 

참고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국립수목원(2014),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Catalog of Life

Wikipedia.org

common.wikipedia.org

www.biolib.de

손동찬, 고성철, 2012, 개복수초(미나리아재비과)의 분류학적 재고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2(4) 316-323

손동찬, 고성철, 2011, 복수초(미나리아재비과)의 종내분류군에 대한 분류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1(2) 144-155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