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명절 다들 잘 보내셨나요.
올해는 무척이나 따뜻한 설명절이었네요.
그래서 그런지 벌써 피어난 꽃들이 있더라고요.
그중에서 논산시, 도봉구에서 발견한 큰개불알풀을 소개합니다.
큰개불알풀은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시골 길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귀화식물이라고 하네요
말 그대로 잡초인거죠
꽃은 참 이쁜데 왜 이런 이름이 지어지게 된 걸까요
꽃의 수술이 개의 그것(?)과 같이 보여서 지어진 이름이라고 하네요
외국에서는 이 수술2개가 새의 눈을 닮아서 birds eye라고도 불려요
최근에는 이름이 민망한지라 큰봄까치꽃이라고 부르려고 하는거 같네요
근데 왜 봄까치꽃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그래도 아직까지는 정식명칭은 큰개불알꽃입니다
이름만 빼고 꽃을 보면 매우 작은 꽃에
눈에 띄는 보라빛이 감도는 푸른색으로
매우 아름다운 꽃입니다
이 조그마한 꽃을 자세히 보면 진한색의 줄무늬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역시나 벌들의 꿀 가이드로서 역할을 하고있나봅니다
아마 저 선의 끝에는 벌이 찾는 꿀이 있겠죠?
꽃은 4장으로 갈라진 하나의 꽃잎을 가지고 있고(통꽃)
수술은 2개, 암술은 1개로 양성화에요
큰개불알풀은 현삼과 개불알풀속에 속하고 있어요
비슷한 종으로는 개불알풀, 선개불알풀, 눈개불알풀 등이 있죠
이 종은 꽃의 크기가 다른 것들에 비해 커서 '큰'이 붙었어요
이 풀을 자세히 보면
줄기와 잎에 무수히 많은 털이 있는 걸 볼 수 있어요
이것도 이 종의 특징 중에 하나이죠
이 종은 국기기후변화 지표종으로 지정되어 있어요
남부지방에서 자라는 종이고
잡초답게 번식력과 생존력이 강해서 그런가봐요
근데 이게 서울 도봉구 천변에서 발견했어요
특정 위치에서만 확인되었고
잡초에 비해 매우 널리 퍼지진 않았는데
어떤 이유인지는 모르겠지만
일부러 야생화 씨앗을 심지는 않았길...
국명 정명
큰개불알풀
국명 이명
봄까치꽃, 큰지금, 왕지금꼬리풀,
왕지금, 봄가리꽃, 땅비단
영어 이름
birdeye, common field, Persian,
large field, bird's eye, winter speedwell
학명 정명 (Accept name)
Veronica persica Poir.
원산지
유럽, 서남아시아
분포
남부지방(충청도 이남)
꽃 피는 시기 (개화 시기)
3월 - 5월
구조 / 구성
꽃잎(화피) 4장(4갈래 통꽃)
꽃받침(악편)4장(4갈래)
수술 2개
암술 1개
열매 맺는 시기 / 종류
4월 - 6월 / 삭과(capsule)
효능 / 이용
잡초
관찰일자
2021.02.12 / 2021.02.19 / 2021.02.26
참고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국립수목원(2014),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Catalog of Life
Wikipedia.org
[신화] 아도니스(Andonis) - 미의 여신을 반하게 한 미소년 (0) | 2021.03.15 |
---|---|
[홍릉] 개복수초 / 복수초 - 누구에게 복수 한다는게 아닙니다 (0) | 2021.03.15 |
[길가] 광대나물 - 봄에 웃음주는 삐에로 (0) | 2021.03.09 |
[길가] 냉이 - 냉이 중에 찐 냉이 (0) | 2021.03.07 |
[길가] 말냉이 - 냉이 종류 중에 하나 (0) | 2021.03.0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