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하!
오늘알아볼 것은
APG분류체계에요
풀네임은
Angiosperm Phylogney Group으로
속씨식물의 계통도를 연구하는
하나의 그룹이름이죠
기존의 계통도는
모두 형태학에 기반한
분류기준에 의한 설정이었는데요
1980년대 이후에
분자생물학의 발전과 보편화가 되면서
기존의 형태학적인 근거가 아닌
분자계통학적인 것을 증거로서
계통도를 만드는 학자들이 증가했어요
근데 이 분자계통학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고나니
기존의 형태학적 기반의 계통도와는
많은 차이가 나타나는것을 확인했어요
그래서 사람들은 이 분자데이터기반의
새로운 계통도를 만들 필요성을 느꼈고
1998년에 첫번째 계통도가 완성되어
출판되었어요
그 이름은 APG I 이에요
APG I 의 계통도이후에는
2003년 개정판 APG II 이 출판되었고
가장 최근에는 2016년,
APG IV가 출판되었어요.
현재도 많은 분자계통학 연구자들은
수 많은 데이터를 분석해서
최적의 계통도를 찾아가고 있죠
APG시스템도 식물분류의 시스템이기에
기존의 분류체계를 따라가고자 하는데
APG I 에서부터 그 분류체계를 설명하는게
매우 어려워요.
현재까지도 마찬가지로 어려워서
계문강목과속종 중에서
"강"에 해당하는 것은
APG에는 없다고 봐야해요
APG시스템에서는 이 "강"대신에
"군"이라는 단어를 사용해요
정확히 강을 지정할 수 없었거든요.
APG는 분자계통학적으로
생물의 진화 경향성을 잘 파악할 수 있고,
분자의 배열이나 구조로서
유연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과,
최근 대두되는 분자생물학에
응용과 인용이 쉽다는 점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어요
그러나 가장 큰 문제점이
두가지 존재하는데요
첫번째는
아직까지 분자데이터를 기반으로 할때,
어디에도 속할 수 없는
그 위치가 굉장히
모호한 분류군이 존재해요
현재 분류군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고
버전을 거듭할 수록
그 분류군이 적어지고는 있어요
하지만 아직까지
정해지지 않았다는 점은
APG시스템에서의
하나의 옥의 티라고 할 수 있죠
두번째는
분자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계통도를 만들었을 때
실제 형태학적으로 만든 계통도와
큰 차이를 보이는 분류군이
존재한다는 거에요
예를 들면
어느 A라는 집단과 B라는 집단에서
식물을 채집했는데
분자계통학적으로는
A와 B가 서로 달라서
서로 다른 종이다
라고 했고
형태학적으로 봤을 때에는
두 집단의 식물들이
전혀 차이가 없으니
서로 같은 종이다
라고 말했어요
이런 경우가 흔하게 나타나요
이 두가지 문제는 APG시스템이
앞으로 해결해야할 문제죠
그럼이제 APG시스템을
본격적으로 알아볼께요
기준은 APG IV(2016) 이에요
그 전에, 속씨식물이전의
분류체계에 대해서는 여기서는
건너뛰고 속씨식물부터 갈께요
APG시스템에서의 속씨식물은
"강"의 분류체계를 따르지 않고
"군"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고 했죠?
이 "군"들은 계급이 확실하지 않아요
"군"의 하위에 "군"이 있기도하고
"군"의 하위에 "목"이 위치하기도 하죠
1. 원시피자식물군(basal angiosperms)
1.0.0.0.0.1. Amborellales
1.0.0.0.0.2. 수련목 (Nymphaeales)
1.0.0.0.0.3. Austrobaileyales
2. 핵심피자식물군(Core angiosperms)
2.0.0.0.0.1. 홀아비꽃대목(Chloranthales)
2.1. 목련군(Magnoliids)
2.1.0.0.0.1. 목련목 (Magnoliales)
2.1.0.0.0.2. 녹나무목 (Laurales)
2.1.0.0.0.3. 후추목 (Piperales)
2.1.0.0.0.4. Canellales
2.2. 단자엽식물군(Monocots)
2.2.0.0.0.1. 비짜루목 (Asparagales)
2.2.0.0.0.2. 백합목 (Liliales)
2.2.0.0.0.3. 마목 (Dioscoreales)
2.2.0.0.0.4. Pandanales
2.2.0.0.0.5. Petrosaviales
2.2.0.0.0.6. 택사목 (Alismatales)
2.2.0.0.0.7. 창포목 (Acorales)
2.2.1. 닭의장풀군(Commelinids)
2.2.1.0.0.1. 종려목 (Aracales)
2.2.1.0.0.2. 벼목 (Poales)
2.2.1.0.0.3. 닭의장풀목 (Commelinales)
2.2.1.0.0.4. 생강목 (Zingiberales)
2.3. 아마 단자엽식물과 자매군
2.3.0.0.0.1. 붕어마름목 (Ceratophyllales)
2.4. 쌍자엽식물군(Eudicots)
2.4.0.0.0.1. 미나리아재비목 (Ranunculales)
2.4.0.0.0.2. 프로테아목 (Proteales)
2.4.0.0.0.3. 수레나무목 (Trochodendrales)
2.4.0.0.0.4. 회양목목 (Buxales)
2.4.0.0.0.5. Gunnerales
2.4.0.0.0.6. Dilleniales
2.4.1. 초장미군(Superrosids)
2.4.1.0.0.1. 범의귀목 (Saxifragales)
2.4.1.1. 장미군(Rosids)
2.4.1.1.0.1. 포도목 (Vitales)
2.4.1.1.1. 콩군(Fabids)
2.4.1.1.1.1. 콩목 (Fabales)
2.4.1.1.1.2. 장미목 (Rosales)
2.4.1.1.1.3. 너도밤나무목 (Fagales)
2.4.1.1.1.4. 박목 (Cucurbitales)
2.4.1.1.1.5. 괭이밥목 (Oxalidales)
2.4.1.1.1.6. 말피기목 (Malpighiales)
2.4.1.1.1.7. 노박덩굴목 (Celastrales)
2.4.1.1.1.8. 남가새목 (Zygophyllales)
2.4.1.1.2. 아욱군(Malvids)
2.4.1.1.2.1. 쥐손이풀목 (Geraniales)
2.4.1.1.2.2. 도금양목 (Myrtales)
2.4.1.1.2.3. Crossosomatales
2.4.1.1.2.4. Picramniales
2.4.1.1.2.5. 아욱목 (Malvales)
2.4.1.1.2.6. 십자화목 (Brassicales)
2.4.1.1.2.7. Huerteales
2.4.1.1.2.8. 무환자나무목 (Sapindales)
2.4.2. 초국화군(Superasterids)
2.4.2.0.0.1. Berberidopsidales
2.4.2.0.0.2. 단향목 (Santalales)
2.4.2.0.0.3. 석죽목 (Caryophyllales)
2.4.2.1. 국화군(Asterids)
2.4.2.1.0.1. Cornales
2.4.2.1.0.2. 철쭉(진달래)목 (Ericales)
2.4.2.1.1. 꿀풀군(Lamiids)
2.4.2.1.1.1. 감탕나무목 (Aquifoliales)
2.4.2.1.1.2. 국화목 (Asterales)
2.4.2.1.1.3. Escalloniales
2.4.2.1.1.4. Bruniales
2.4.2.1.1.5. 산형목 (Apiales)
2.4.2.1.1.6. 산토끼꽃목 (Dipsacales)
2.4.2.1.1.7. Paracryphiales
2.4.2.1.2. 초롱꽃군(Campanulids)
2.4.2.1.2.1. 가지목 (Solanales)
2.4.2.1.2.2. 꿀풀목 (Lamiales)
2.4.2.1.2.3. Vahliales
2.4.2.1.2.4. 용담목 (Gentianales)
2.4.2.1.2.5. 지치목 (Boraginales)
2.4.2.1.2.6. Garryales
2.4.2.1.2.7. Metteniusales
2.4.2.1.2.8. Icacinales
목에 도달하는데 최대
6개의 계급을 지나야하네요
그야말로 복잡에 복잡이죠
[길가] 메꽃 - 나팔꽃인 듯 나팔꽃 아닌 너 (0) | 2021.08.31 |
---|---|
3. 앵글러(Engler)분류체계&멜키오르(Melchior)분류체계 (0) | 2021.08.16 |
1. Cronquist 분류체계 - 대부분 도감의 분류방식 (0) | 2021.07.06 |
[길가] 인동 - 한 나무 두 꽃, 얽기고설켰지만 하나에요 (0) | 2021.07.01 |
[물가] 노랑꽃창포 - 전 창포나 꽃장포아니고요, 단오랑도 관련없어요 (0) | 2021.06.1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