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1. Cronquist 분류체계 - 대부분 도감의 분류방식

우리주변생물

by 쿠스팡 2021. 7. 6. 22:14

본문

728x90
반응형

크론퀴스트는 미국의 생물학자에요.

주로 국화과를 대상으로

해부학적인 연구를 많이 했는데요

그런 이 분에게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새로운 분류체계를 만들었다는 거에요

 

Public domain accessed from Wikipedia.org

 

크론퀴스트 시스템이라고 하는 것은

꽃피는 식물을 대상으로 분류했고요

가장 큰 범위에서는

외떡잎식물과 쌍떡잎식물로 분류했어요

 

이 분류체계는 1957년에

단자엽식물을 먼저 분류해서

처음 발표되었는데요

분류체계의 기준이

식물의 해부학적 형질을

바탕으로 만들어져서

현재까지도 수 많은 도감에

이를 기준으로 나열되어 있죠

물론 현재의 전문적인 학술시스템에서는

새롭게 발표되고 진화중인

APG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이 분류체계와

여기에서 변형된 체계도 사용중이에요

 

이제 분류를 해볼께요

 

크론퀴스트는 피자식물만 분류했지만

1960년, 다른 저자들의 분류논문을 바탕으로

식물계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룬 논문이 있어요

피자식물 이전의 단계의 분류는

이 논문을 참고하면서

현재의 학명을 사용할께요

 

우선 가장 큰 범위에 있는

식물계(Plantae, Kingdom)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있는

다른 것들은 모두 제외하기로하고

관속식물에 해당하는 것들을 시작으로

한번 나열해보죠

 

그전에, 하나만 포함할께요

관속식물은 아니지만

그래도 좀 식물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선태식물문(Embryophyta)이 있어요

흔히 말하는 이끼죠

 

Cronquist기준으로 관속식물에는

7개의 문(Division)이 있어요

송엽란식물문(Psilotophyta)

석송식물문(Lycopodiophyta)

속새식물문(Equisetophyta)

양치식물문(Polypodiophyta)

소나무문(Pinophyta, 구과식물문)

소철문(Cycadophyta)

피자식물문(Magnoliophyta, Angiosperms 속씨식물)

 

우리가 흔히 식물을 분류하는데

유배식물, 관속식물, 포자식물 등으로

분류하곤 하는데요

사실 이런 분류는 시스템의 

어느 부분에 속한다기 보다는

하나의 임의의 기준이라고 봐야해요

영어표기는 Clade로 표현해요

즉, 계문강목과속종에 속하는 게 아닌거죠

 

위의 문(Division)들 중에서

선태식물을 포함해서 전체가 유배식물이고요

선태식물을 제외하면 전체가 관속식물

그 중에서 양치식물문까지 포자식물이고요

나머지는 종자식물이죠

종자식물 중에서도 피자식물문은 특히

꽃이피는 식물이죠

즉, 나자식물까지는 꽃이 피지 않는것이라

말할 수 있는데요

사실 이것도 꽃인지 아닌지 모호해서

소나무와 은행나무 같은 나자식물의 꽃은

꽃이라하지 않고 다른 용어로 불러요

 

꽃피는 식물을 나누면

외떡잎식물과 쌍떡잎식물로 나눠요

식물의 분류체계인

계-문-강-목-과-속-종 중에서는

"강"에 해당하고요

외떡잎식물강은 한자로 단자엽식물강이고요

영문표기는 Monocotyledon로 불러요

다른 말로는 백합강(Liliopsida)으로 불러요

쌍떡잎식물강은 한자로 쌍자엽식물강이고요

영문표기는 Dicotyledon로 불러요

다른 말로는 목련강(Magnoliopsida)로 불러요

 

이제 나머지는 정리해서 나열해볼께요

※ 피자식물이하는 강까지만 할께요

Cronquist도 강까지만 했어요

※ 목 이하로는 국내에 있는 것만 적을께요

 

----여기부터 유배식물----

0. 선태식물문(Bryophyta)

 0.1. 우산이끼강(Marchantiopsida)

 0.2. 뿔이끼강(Anthocerotopsida)

 0.3. 이끼강(Bryopsida)

 

----여기부터 관속식물----

1. 송엽란식물문(Psilotophyta)

 1.1. 송엽란강(Pilotopsida)

 

2. 석송식물문(Lycopodiophyta)

 2.1. 석송강(Lycopodiopsida)

 

3. 속새식물문(Equisetophyta)

 3.1. 속새강(Equisetopsida)

 

4. 양치식물문(Polypodiophyta)

 4.1. 양치강(Polypodiopsida)

 

----여기부터 종자식물----

5. 소나무문(Pinophyta)

 5.1. 은행나무강(Ginkoopsida)

 5.2. 소나무강(Pinopsida)

 5.3. 매마등강(Genetopsida)

 

6. 소철문(Cycadophyta)

 6.1. 소철강(Cycadopsida)

 

----여기부터 속씨식물----

7. 피자식물문(Magnoliophyta)

 7.1. 목련강(Magnoliopsida)

  =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ae)

  7.1a. 목련아강(Magnoliidae)

   7.1.1. 목련목(Magnoliales)

   7.1.2. 녹나무목(Laurales)

   7.1.3. 후추목(Piperales)

   7.1.4. 쥐방울덩굴목(Aristolochiales)

   7.1.5. 수련목(Nymphaeales)

   7.1.6. 미나리아재비목(Ranunculales)

   7.1.7. 양귀비목(Papaverales)

  7.1b. 조록나무아강(Hamamelidae)

   7.1.8. 조록나무목(Hamamelidales)

   7.1.9. 굴거리나무목(Daphniphyllales)

   7.1.10. 두충목(Eucommiales)

   7.1.11. 쐐기풀목(Urticales)

   7.1.12. 가래나무목(Juglandales)

   7.1.13. 소귀나무목(Myricales)

   7.1.14. 너도밤나무목(Fagales)

  7.1c. 석죽아강(Caryophyllidae)

   7.1.15. 석죽목(Caryophyllales)

   7.1.16. 마디풀목(Polygonales)

   7.1.17. 갯질경목(Plumbaginales)

  7.1d. 오아과아강(Dilleniidae)

   7.1.18. 오아과목(Dilleniales)

   7.1.19. 차나무목(theales)

   7.1.20. 아욱목(Malvales)

   7.1.21. 벌레잡이통풀목(Nepenthales)

   7.1.22. 제비꽃목(Violales)

   7.1.23. 버드나무목(Salicales)

   7.1.24. 풍접초목(Capparales)

   7.1.25. 철쭉목(Ericales)

   7.1.26. 돌매화나무목(Diapensiales)

   7.1.27. 감나무목(Ebenales)

   7.1.28. 앵초목(Primulales)

  7.1e. 장미아강(Rosidae)

   7.1.29. 장미목(Rosales)

   7.1.30. 콩목(Fabales)

   7.1.31. 프로티아목(Proteales)

   7.1.32. 도금양목(Myrtales)

   7.1.33. 단향목(Santalales)

   7.1.34. 개미탑목(Haloragales)

   7.1.35. 층층나무목(Cornales)

   7.1.36. 노박덩굴목(Celastrales)

   7.1.37. 대극목(Euphorbiales)

   7.1.38. 갈매나무목(Rhamnales)

   7.1.39. 아마목(Linales)

   7.1.40. 원지목(Polygalales)

   7.1.41. 무환자나무목(Sapindales)

   7.1.42. 쥐손이풀목(Geraniales)

   7.1.43. 미나리목(Apiales)

  7.1f. 국화아강(Asteridae)

   7.1.44. 용담목(Gentianales)

   7.1.45. 가지목(Solanales)

   7.1.46. 꿀풀목(Lamiales)

   7.1.47. 별이끼목(Callitrichales)

   7.1.48. 질경이목(Plantaginales)

   7.1.49. 현삼목(Scrophulariales)

   7.1.50. 초롱꽃목(Campanulales)

   7.1.51. 꼭두선이목(Rubiales)

   7.1.52. 산토끼꽃목(Dipsacales)

   7.1.53. 국화목(Asterales)

 

 7.2. 백합강(Liliopsida)

  = 외떡잎식물강(Monocotyledonae)

  7.2a. 택사아강(Alismatidae)

   7.2.1. 택사목(Alismatales)

   7.2.2. 자라풀목(Hydrocharitales)

   7.2.3. 나자스말목(Najadales)

  7.2b. 닭의장풀아강(Commelinidae)

   7.2.4. 닭의장풀목(Commelinales)

   7.2.5. 곡정초목(Eriocaulales)

   7.2.6. 골풀목(Juncales)

   7.2.7. 사초목(Cyerales)

   7.2.8. 부들목(Typhales)

  7.2c. 생강아강(Zingiberidae)

   7.2.9. 생강목(Zingiberales)

  7.2d. 종려아강(Arecidae)

   7.2.10. 종려목(Arecales)

   7.2.11. 영주풀목(Triuridales)

   7.2.12. 천남성목(Arales)

  7.2e. 백합아강(Liliidae)

   7.2.13. 백합목(Liliales)

   7.2.14. 난초목(Orchidales)

 

Cronquist. A., The divisions and classes of plants, 1960, The Botanical Review 26: 425-482

Cronquist. A., The evolution and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2nd ed.). 1988, Bronx, NY: New York Botanical Garden. ISBN 9780893273323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