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목련과 - 나무의 연꽃

우리주변생물

by 쿠스팡 2022. 1. 25. 21:50

본문

728x90
반응형

쿠하!

안녕하세요

 

오늘 알아볼 과는

한자로

나무 연꽃이라 불리는

목련과에 대해 알아볼께요

백목련 원작자 :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봄이 시작될 즈음이면

가장먼저 피어나는 꽃에는

목련이 포함되어 있죠

바로 이어서 피는

봄의 대명사

개나리와 벚꽃에

조용히 묻혀버리는

조금 안타까운 꽃이기도 하죠

백목련 원작자 :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목련꽃과 연꽃을 비교해 볼까요
왜 나무 연꽃이라는

이름이 붙었는지 알 수 있을꺼에요

일단 연꽃의 꽃잎의 느낌이

서로 비슷하다는 느낌이에요

두꺼워보이는 꽃잎이

아래로 쳐지지 않고 꼿꼿이 서있죠

꽃이 질때면

한 장씩 잎이 쳐져서 떨어지고요

 백목련, 원작자 : 유태철,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연꽃, accessed from Pixabay.com

 

이제 이 둘을 학술적으로 비교해보자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둘은 서로 관계없는

먼 친척관계에요

목련과는 목련목에 해당하고

연꽃(수련)과는 수련목에 해당하죠

애초에 둘은

사는 곳 부터가 다르잖아요

목련은 육지고 연꽃은 물이 필요하죠

Magnolia soulangeana Grandmont, CC BY 3.0 by author Jeon-Pol Grandmont, accessed from commons.wikimedia.org

 

 

목련은 우리가 직접적으로

식재료로 사용하거나 하진 않지만

우리나라의 많은 학교부터

지자체에서 상징화, 상징목을

목련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어요

(사진은 간혹 백목련인 경우가...)

 

아마

겨울을 이겨내고 피어나는

흰색의 그 모습이

고고하고 청렴하다는

의미가 반영된게 아닌가 싶네요

본 저작물은 '부산광역시 서구'에서 '2021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상징물(작성자:기획감사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부산광역시 서구, www.bsseogu.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목련과의 영어학명은

Magnoliaceae에요

특별한 의미가 있는건 아니고

프랑스의 식물학자

Pierre Magnol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진 이름이에요

 

목련과는 꽃이 피는 식물 중

가장 원시적이라고 알려진

그룹이에요

어떤 특징이 있는지 살펴볼까요

백목련 원작자 :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목련과에도 많은 특징이 있지만

가장 구별하는데 키가 되는

몇가지를 핵심적으로 알아보면

 

첫 번째

꽃의 크기와 모양이 있죠

우선 목련과의 식물들은

모두 키가 큰 교목이거나

키가 작은 관목으로

나무에 꽃이 피죠

이 나무에 달리는 꽃은

다른 과의 꽃들과 다르게

굉장히 크고

상하좌우로 모두 대칭이에요

(방사상칭)

 

어떻게 얇은 가지에서

저 꽃이 버틸 수 있을까하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죠

Magnolia wieseneri, Public domain by author WibblyWibby, accessed from commons.wikimedia.org 

 

두 번째는

수술과 암술의 개수에요

원시적인 목련과의 꽃 안쪽에는

하나의 기둥이 있는데요

그 기둥의 아래에서는 수술이

그 기둥의 위에서는 암술이 있어요

그 개수는 둘 다 매우 많아요

모두 나선형으로 배열되어 있는데요

이 둘을 합쳐서 목련과의

구별특징이 되죠

Magnolia grandiflora flower 04 by Line1, CC BY-SA 3.0 by author Liné1, accessed from commons.wikimedia.org 

암술은 수분이 된 이후에

안쪽의 씨방에서 씨앗이 만들어지고

수술은 꽃가루를 퍼뜨린 이후에

떨어져 버려요

봄이 되어 벚꽃이 필때면

목련과의 꽃은 다 떨어지는데요

거기에서 나무에 매달려 있는

암술대를 볼 수 있을 거에요

그 암술대의 아래를 자세히보면

구멍이 뚫려있는데

이 구멍이 수술이 있던 흔적이에요

이를 통해서

나선형을 더 잘 확인할 수 있어요

Starr 070830-8226 Magnolia grandiflora, CC BY 3.0 by author Forest & Kim Starr, accessed from common.wikimedia.org

세 번째는

꽃이 피기 전에 알아낼 수 있는데요

목련과의 나무를 지나가다 보면

꽃이 피지도 않았는데

뭔가가 굉장히 많이 떨어져있어요

이건 이제 겨울내내

꽃을 보호하고 있던 눈을

둘러싸고 있던 변형된 잎인데요

꽃이 피기 직전,

이 탁엽은 떨어져버리죠

원작자 :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다시 말해서,

이 탁엽들이 떨어져 있다는건

이제 목련이 꽃이 핀다는 뜻이죠

 

이 세가지의 특징 중

하나만 확인할 수 있어도

목련과는 쉽게 파악이 가능해요

 

목련과가 가지는 특징 중 하나는

골돌과의 열매를 가진다는 건데요

(튤립나무 제외 - 시과)

골돌과는 열매 안에 씨가 있다가

씨가 성숙하게 되면

한개의 봉선이 터지면서

씨가 퍼뜨려지는 열매 유형이에요

gksMagnolia grandiflora 2003, CC BY-SA 3.0 by author Pmsyyz, accessed from common.wikipedia.org

※ 봉선이란?

더보기

열매가 성숙된 이후에

열매가 열리면서 퍼뜨릴 때

열매가 쉽게 터지도록

만들어진 부위에요

열매가 열릴 때 여기로 열려요

ex) 콩깍지의 양 끝의 선

 

이러한 특징들을 잘 확인한다면

목련과의 경우에는

다른 과보다 훨씬 쉽게

알아볼 수 있을 거에요

무엇보다도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목련과도 흔치 않아요

함박꽃나무, 원작자 : 현진오,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다음은 우리나라에 자라는

목련과에 해당하는 종들이에요

링크가 되어있는 경우

클릭하면 이동해요

 

백목련

자주목련

자목련

목련

태산목

함박꽃나무(산목련)

일본목련(후박나무)

튤립나무(백합나무)

초령목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