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벚나무속 관찰하기
그 두번째 이야기
지난번에는 앵도나무를
관찰했었죠
2021.03.31 - [우리주변생물] - [길가] 앵도나무 - 벚나무 중에서 그나마 구별이
오늘은 난이도 확 높여서
이름부터 벚나무인
산벚나무를 살펴볼께요
그전에 지난번에
정리했던 검색표를 볼께요
2021.03.30 - [우리주변생물] - [동정] 벚나무 종류 - 오늘만난 벚나무는 무슨 벚나무일까
검색표를 따라가보죠
1. 화서를 형성한다 - b
줄기에 여러개의 꽃이 있고
특정한 화서를 만드는 것 같네요
9. 꽃은 5-6개씩 달린다 - b
a는 15개 이상인데,
눈에 봐도 이정도는 아니네요
14. 암술대에 털이없다. - b
길가의 벚꽃과 다르게
잎이 같이 있는 게 보이죠?
잎자루에 선점이 생긴다. - b
선점은 화외밀선이라고도 하는데요
잎자루에 동그랗게 2개가 보이네요
꽃과 잎이 동시에 난다 - b
멀리서 보는 모습에서부터
잎의 푸른색이 느껴지네요
벚나무가 꽃이 지고있어서
느껴지는 거 일수도 있지만
그래도 한 점에서
꽃과 잎이 같이 나오는 걸
확인할 수 있어요
역시 모두 14b를 만족하네요
이제부터 헷갈리네요
이제 알 수 있는 것부터
확인하고 제외해보죠
먼저 홀꽃이죠
꽃벚나무는 제외
꽃자루에 털없고, 잎 뒤에도 융모없죠
잔털벚나무, 분홍벚나무 제외
그럼이제 남은건
벚나무, 산벚나무, 섬벚나무
그럼 도감을 한번 볼께요
우선 섬벚나무는
울릉도 특산종이에요
내륙으로 들어오기에는
무리가 있으니 제외.
남은건 벚나무와 산벚나무인데요
산벚나무는 벚나무에 비해서
잔가지가 두꺼워요
그리고 색도 더 짙은 밤색이죠
그래서 결론은 이 나무는
산벚나무!! 입니다
산벚나무를 정리해보자면
잎과 꽃이 동시에나고
암술에 털이 없고
꽃차례에 2-3개가 피는
잔가지가 두꺼운 벚나무죠
앞서서 화외밀선을 말했는데,
말그대로 꽃밖에 있는 꿀샘이고
개미를 유인하는 꿀샘이에요
개미가 오면 포식자를 막아주고
대신에 꿀을 가져가는거죠
근데 꽃에 가면 다 망가뜨리니
잎에 꿀을 만들어놓았어요
벚나무에서 주로 볼 수 있는
특징중에 하나에요
여기서는 잎자루에
2개가 붙어있는게 보이네요
산벚나무는 다른 장미과와 마찬가지로
수술이 굉장히 많죠
암술은 단 1개만 존재하고 있고요
벚나무 역시 열매를 만들어내고요
이것 역시 버찌라고 하죠
이 꽃은 길가에서는 보기 힘들거에요
잎과 꽃이 같이피기 때문에
잘 심지 않았을 걸로 생각되거든요
길가에서 쉽게 보는 벚나무는
다음번에 알아볼께요
자세한 기재문은 아래에 있어요
유사종
벚나무, 분홍벚나무, 섬벚나무, 잔털벚나무, 꽃벚나무 등 벚나무속
국명 정명
산벚나무
국명 이명
산벗나무, 벚꽃, 벚나무
영어 이름
Sargent's cherry, North Japanese hill cherry
학명 정명 (Accept name)
Prunus sargentii Rehder
분류체계
벚나무속 - 장미과 - 장미목 - 목련강
Prunus - Rosaceae - Rosales - Magnoliopsida
원산지
-
분포
전국, 일본(혼슈이북), 러시아(사할린)
산의 숲, 길가
생육형태
낙엽성 교목
꽃 피는 시기 (개화 시기)
4월 - 5월
(2021. 04. 06)
구조 / 구성
꽃잎(화피) 5장(5장 갈래꽃)
꽃받침(악편) 5장
수술 많음
암술 1개
열매 맺는 시기 / 종류
5월 - 6월 / 핵과(drupe)
효능 / 이용
관상용, 식용, 목재용
관찰일자
2021.04.06
참고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국립수목원(2014),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김진석, 김태영 『한국의나무』 돌베게
이창복 『원색 대한식물도감』 전2권, 향문사
Catalog of Life
Wikipedia.org
common.wikipedia.org
www.botanicus.org
댓글 영역